1번 과제가 수월하다고 했더니만 2번 과제를 보고 머리가 띵 ~ 했다,, ㅎㅎㅎㅎ 아침인 탓이겠지? 🙄 Controller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와 처리하는 역할을 함 그리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Service가 존재! 그리고 Service는 데이터베이스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Repository를 用 但, 이렇게 각각의 객체를 직접 생성해서 사용한다면, 코드의 유지 보수나 기능 변경 시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는 의존성 주입(DI)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게 됨 DI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아래 3가지가 존재함 1️⃣ 어노테이션 사용하기 2️⃣ 생성자 사용하기 3️⃣ Setter 사용하기 그 중 어떤 방법이 제일 좋을까? 💭 내 생각에는 2번..